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export default vs named export
- SWAGGER
- hailuoai
- api mocking
- spring tool suit
- SpringBoot
- 자바 퍼시스턴트
- springtools
- Ai
- 연구용ai
- 금융거래를 위해 설치한 보안프로그램들 北해커에 노출위험
- jpa
- 풍력발전전기
- 난카이 워치
- oai
- 오픈리서치
- spring
- 륀트
- gradle
- spring start
- 글쓰기
- 이미지생성
- json schema
- 아키스케처
- api 자동문서화
- 그리기어시스턴트
- 가구배치
- swagger editor
- swagger codegen
- achiscacher
- Today
- Total
목록gradle (2)
지혜를찾아 블로깅

저를 포함한 많은 개발자들이 Spring Framework기반인 Spring MVC와 Spring Boot의 정확한 차이점을 모르고 그냥 비슷하네, 조금 설정이 편해졌네 하고 그냥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특히나 우리나라는 정부 프로젝트에서 우선적으로 사용하도록 되어있는 전자정부프레임워크는 아직도 엄밀히 말하면 Spring MVC, 즉 레거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둘의 차이를 좀 확실하게 알아두는 것도 괜찮을듯하여 정리해 봤습니다.아마도 요즘 개발자들은 서블릿, 스트랏이라는 용어도 생소할 수도 있을 겁니다. Spring Boot의 핵심 모토는 바로 "Just run!"이에요.즉, 복잡한 설정 없이 바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자는 철학이 담겨 있죠. 아마도 설정 부분의 작은 차이로 구동이 안된다던지,..

일반적으로 Spring Boot를 처음 접하거나, 혹은 테스트를 위해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경우 자주 하지 않아서 방황하는 경우가 있는데 시기에 따라서 IDE 환경에 따라서 여러 가지 방법이 존재하는데 이번에는 맥북에 설치된 STS4에서의 경험을 공유해보고자 한다. 다른 글들을 보면 일반적으로 메뉴에서 File > New > Spring Start Project 혹은File > New > Orther > Spring Start이런식으로 쉽게 생성해서 바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Spring Tool에서 Spring project가 없다니 참으로 이상하지만, 저의 경우는 메뉴가 없었다. 그래서 이런 경우 다른 정보에 의하면 Help > Install New Software에서 Spring Boo..